주식 용어 매수, 매도하는 법
안녕하세요 이코메모입니다.
오늘은 주식을 아예 모르는 초보자분들을 위해서
기초부터 차근차근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매수와 매도
밥을 먹으려면 맛있는지 맛없는지를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씹어서 삼키는 법을 알아야 하듯이
이 주식이 좋은지 안 좋은지도 중요하지만
일단 사고파는 방법부터 배워야 하겠죠?
일단 사고파는 방법을 배우기 전에 용어부터 정리합시다.
매수란 쉬운 말로 '산다'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사과를 하나 샀다 --> 주식을 1주 매수했다.
사과는 샀다고 표현하듯이
주식은 매수했다고 표현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매도란 반대로 '팔았다'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사과를 하나 팔았다 --> 주식을 1주 매도했다.
용어만 생소하고 매우 쉽죠?
여기에서 매수를 하는 사람을 "매수자"
매도를 하는 사람을 "매도자"
자 이제 용어를 알았으니 매수를 한번 해볼까요?
지금은 미국 시장이 열린 시장이니 미국장에서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한국 시장은 9시에서 3시 30분까지
미국 시장은 서머타임 기준 한국시간으로 10시 30분에서 5시까지
서머타임 해제 시 11시 30분에서 6시까지로 1시간 밀립니다.
나중에 시간대별로 거래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 지금 보여드리는 것을 호가 창이라고 부릅니다.

호가
호가란 팔거나 사려는 물건의 값을 부르는 행위를 말합니다.
중간에 보이는 숫자(63.51~63.79)를 호가라 부릅니다.
위에 그림을 보면 63.7~63.69이 중간에 있는데
이 지점이 현재 이 주식의 가격이며 시장 가라고 합니다.
현재 매수자와 매도자가 만난 지점인 것이죠.
현재 시장에서 매매되고 있는 가격이라는 것이죠.
63.7부분을 보시면 왼쪽에 1300이라는 숫자가 보이실 겁니다.
그 말은 63.7달러에 팔겠다는 내놓은 주식이 1300개라는 말입니다.
한 호가 밑에 보시면 63.69달러 오른쪽에는 1600이라는 숫자가 보입니다.
63.69달러에 1600개를 사겠다고 기다리고 있는 것입니다.
왼쪽 밑에 13125는 매도잔량으로 팔겠다고 나온 주식 중 아직 팔리지 않은 주식의 합계입니다.
오른쪽 밑에 9000은 매수 잔량으로 사겠다고 한 주식 중 아직 매매되지 않은 주식의 합계입니다.
매수(매도) 방법에 여러 가지가 있지만 다른 것들은 별로 필요 없고
시장가와 지정가만 알면 충분합니다(98%)
시장가
쉽게 알려드리겠습니다.
만약 내 앞에 63.7달러에 팔겠다고 사람들이 외치고 있습니다.
그때 63.7달러면 살만하지 하지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때 가장 싼 가격으로 빠르게 사고 싶다면
시장가로 사겠다고 말하면 현재 호가에서 가장 싼 매도 호가인
63.7달러에 매수를 하게 됩니다.
시장가는 보통 즉시 매매를 하고 싶을 때 사용됩니다.
매도는 반대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시장가로 매도한다면 현재 호가에서 가장 비싼 매수 호가로
즉시 매매 체결이 됩니다.
지정가
지정가란 내가 지정하는 금액에 매수 혹은 매도를 할 수 있는 주문입니다.
만약 내가 시장가인 63.7달러 이상에 금액을 지정해 매수 주문을 넣는다면
현재 팔고 있는 63.7달러에 파는 사람이 있기 때문에 바로 63.7달러에
매매가 체결될 것입니다.
만약 내가 시장가 보다 낮은 금액에 매수 주문을 넣는다면
그 금액에 팔고 있는 사람이 없기 때문에
바로 주문이 체결되지 않고 그 호가에 가서 매수잔량으로 쌓일 겁니다.
만약 그날 그 호가까지 팔겠다고 사람들이 가격을 내리면
매수가 되는 것이고
그 호가까지 가격을 내리지 않아 주문에 체결되지 않는다면
장 종료시간에 주문이 취소될 것입니다.
어렵게 설명을 했지만 막상 해보면 별로 어렵지 않습니다.
그리고 금액 지정할 때 일일이 쓸 필요 없고
원하는 호가를 클릭하거나 터치하시면 바로 그 금액으로 지정될 겁니다.
매도는 반대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내가 정한 금액에 팔겠다고 하고
만약 그 가격에 사겠다고 하는 사람이 있으면 팔는 것이고
만약 그 가격에 아무도 사지 않는다면 팔리지 않는 것이죠.
수량
자 이렇게 하면 사고파는 방법을 알았으니
몇 개를 사고팔지 정해야 합니다.
그래야 내가 총 얼마만큼의 돈을 지불해야 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가격*수량= 총 금액 입니다.

자 매수 주문창입니다.
종류에서는 시장가와 지정가를 정할 수 있습니다.
그 밑에는 수량을 정할 수 있습니다. 총 몇 개를 살 것인지.
그 밑에는 지정가이다 보니 금액을 정할 수 있습니다.
저 금액까지 살 의도가 있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겠죠.
밑에는 환율 계산해서 원화로도 보여주고 있네요.

시장가로 바꾸니 가격을 지정할 수 없는 모습이 보입니다.
이제 수량만 정해서 매수 버튼을 누르면 매수가 진행됩니다.
만약 주문을 넣었는데 체결이 되었다면 잔고나 거래내역에서
내가 매수(매도) 한 주식(거래내역에서 얼마에 샀는지도)을 볼 수 있고,
주문을 넣었는데 체결이 되지 않았다면
미체결 내역에서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주식의 기초인 매수, 매도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것만 알면 최소 사고파는 것은 할 수 있습니다.
지정가로 주문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해서
작은 금액으로 지정가에 주문 넣어 사거나
취소하는 것 연습하시면 좋습니다.
취소는 미체결 내역에서 할 수 있습니다.
주린이분들 포기하지 말고 꾸준히 하시길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