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메모/해외 주식 단기

미국주식 쏠림 현상

이코메모 2023. 6. 24. 05:24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코메모입니다.

반년 사이에 나스닥지수와 S&P 500 지수에 많은 일이 있었는데요.

벌써 2분기가 1주 밖에 남지 않아서 올해 2분기에 대한

해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의 미국의 기준 금리입니다.

중간에 은행권 위기를 비롯해서 여러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결국에는 5.25까지 올라왔습니다.

그리고 마침 이번 FOMC에서 금리 동결이 되었습니다.

물론 7월에 다시 올린다는 의견도 많이 있습니다.

어쨌든 높은 기준금리와 높은 시장금리에도 불구하고

(13년 만에 미국채 10년물이 3.5를 넘었다)

나스닥과 S&P 500의 지수는 많이 상승해 줬습니다.

특히 빅테크 종목들이 많이 상승해 주면서 지수를 견인하였습니다.

 

S&P 500 MAP

 

 

여기를 보시면 시가총액이 큰 주식들이 사각형의 면적이 넓은데요.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엔비디아, 메타, 아마존, 테슬라 등

시총이 큰 빅테크 기업들을 중심으로 많이 상승한 모습이 보입니다.

 

또한 1월 3일 나스닥 100은 10950, 나스닥지수는 10550

400포인트가 차이가 났으나,

오늘 자 시초가 기준 나스닥 100 15075, 나스닥지수는 13500

1575가 차이 나는 모습이 보입니다.

 

이렇게 단시간 동안 빅테크에 쏠림 현상이 심해진 적은 처음인 거 같습니다.

 

 

일단 장이 오른 것은

 

1. 은행권 위기에 돈을 풀어주면서 QE라고 말은 하지 않았지만

유동성 공급은 실제로 일어났다

2. 혹은 기존에 풀었던 돈이 너무 많아서 아직 긴축의 효과가

크게 보이지 않는다.

3. 현재의 금리를 무시할 정도의 기업의 성장성이 보인다.

 

이 중 하나라고 생각됩니다.

 

 

빅테크의 쏠림 현상은

 

1. 현금 유동성이 풍부한 기업으로 돈이 몰렸다.

(긴축 기간에 현금 유동성이 풍부한 기업에 돈이 몰리는 일은 자주 있었다.)

 

2. AI

AI와 실질적으로 관계가 있는 기업들은 빅테크 기업뿐이다.

 

 

만약 AI가 상승장의 이유라고 한다면 어느 정도 이해가 된다.

AI가 최근에 각광을 받게 되면서 AI와 관련이 있는

빅테크를 위주로 상승을 하기 시작했다.

또한 그 AI 관련 산업의 성장성이 시장금리를 무시할 정도라고

시장에서 평가하고 있다.

라고 해석을 한다면 지금 지수의 상승과 빅테크 쏠림 현상

모두 납득이 가능할 것 같다.

나도 AI 관련 산업이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을 하지만

12개월 선행 PER을 보니 조금 조심스러워진다.

(나중에 AI 버블이라 기술될지도)

PER의 역수는 주식수익률이 되는데

빅테크중 구글과 메타를 제외하고는 주식수익률이 미국채 10년물 3.8보다 못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만약 지금의 주가가 정당화되기 위해서는 EPS가 컨센서스보다

빠르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주거나 주가가 하락해야 할 것 같아 보입니다...

 

물론 지나고 봐야 지금의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겠으나

쏠림 현상도 심하고 지수도 너무 급하게 올라온 지금 무리하게

빅테크를 따라타거나 하는 전략은 좋지 않아 보입니다.

 

오히려 상승장을 기대한다면 러셀 2000에 투자하는 것이 좋을 수 있겠다는 생각입니다.

상승장에 큰 기업이 먼저 지수를 올린 후 작은 기업이 따라 올라가는 경우도 자주 있습니다.

 

지금 지수가 너무 부담이 되거나 이미 너무 많은 비중을 가지고 계신 분들은

(국내 주식 포함)

비중 조절 조금 하시고

TLT 같은 달러로 매입 가능한 장기채 ETF를 미국채 10년물 기준

3.8 넘어설 때마다 분할 매수하시면 채권 자체도 리스크 헷징

가능하고 달러도 리스크 헷징 가능해서 좋아 보입니다.

 

 

반년 동안 주식시장에서 고생하느라고 수고 많으셨습니다.

그래도 작년보다는 수익 보신 분들이 많을 거라 생각하며

올해 끝까지 잘 마무리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경제메모 > 해외 주식 단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풋과 증시 급등  (0) 2025.04.10
미국 스몰캡, 중소기업, 러셀 2000  (2) 2025.04.09
미국 증시 또다시 폭락  (0) 2025.04.05
미국 증시 폭락  (0) 2025.04.04
중국과 홍콩 증시 급등  (4) 2024.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