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망 5

코스닥 단기적 분석 및 전망 2023/07/28

안녕하세요 이코메모입니다. 최근 2일 동안 코스닥 150이 엄청 심한 변동성을 보여주었습니다. 무슨 일이 있었는지 분석하고 전망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에 보이는 차트는 코스닥 150 차트입니다. 최근에 코스닥 쪽에서 2차 전지 섹터로의 쏠림 현상으로 인하여 코스닥 150이 훨씬 큰 변동성을 보여주어서 코스닥 150으로 들고 왔습니다. ​ 최근 6년 정도의 차트인데 이번 주가 그 6년 중에서 코로나 최저점 부분을 제외하고는 가장 변동성이 심했던 주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저번에 올렸던 포스팅에서 코스닥의 밸류에이션에 대해서 적은 글이니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2023.07.19 - [경제메모/국내 주식 단기] - 코스닥 900 상향 돌파 분석 및 전망 저 글에서 말했다시..

코스닥 900 상향 돌파 분석 및 전망

안녕하세요 이코메모입니다. 오늘은 코스닥이 900을 강하게 돌파하며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위에 보이는 차트는 코스닥의 최근 2년 차트입니다. 코로나 이후에 엄청난 유동성으로 1000을 돌파하였던 코스닥은 작년 한 해 동안 매크로적인 이슈와 높은 벨류에이션으로 30% 정도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하지만 올해 들어서 강하게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코스닥시장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에코프로비엠과 에코프로가 강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코스닥 150 같은 경우 더 강한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위에 보이는 차트는 코스닥 150의 차트입니다. 최근 들어서 매우 가파르게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조금만 더 상승한다면 신고가를 경신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많이 올라온 ..

달러 인덱스 100 하향 돌파 분석 및 전망

안녕하세요 이코메모입니다. 최근에 달러 인덱스가 1년 3개월 만에 100을 하향 돌파하는 모습을 보여 급하게 글을 올려 보려고 합니다. 위에 보이는 차트는 달러 인덱스 차트입니다. 1년 넘게 100위에서 움직이는 모습을 보여주다가 최근 들어서 급격하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최근에 물가 상승률인 cpi가 열심히 하락하고 있어서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많아야 한번 인상할 거라는 의견이 주류가 되어서 그런 것 같습니다. headline cpi가 3.0 (예상 3.1) 전년대비 core cpi가 4.8 (예상 5.0) 전년대비로 발표되었습니다. 현재 healine cpi에서 식료품과 에너지를 뺀 core cpi나 core pce를 더 중요하게 보고 있습니다. 연준에서도 그렇게 보고 있습니다..

국내 주식 단기적 분석 및 전망 2023/07/16

안녕하세요 이코메모입니다. 오늘은 국내시장 상황을 분석하고 전망해 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코스피와 코스닥의 차트입니다. 최근에 다시 고점에 도전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최근 원달러 환율이 빠지면서 증시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 증시는 원달러 환율과 긴밀한 역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나중에 따로 정리하여 자세하게 글을 올리겠습니다. 참고로 저는 국내 증시를 볼 때 원달러 환율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국내 증시가 고점에 도전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과 대비되게 저점에 도전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최근 들어서 1300원 대에서 급하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달러 인덱스도 100을 깨고 하락하는 모습을..

비트코인 시세 2023/6/26

안녕하세요 이코메모입니다. 최근에 비트코인 시세가 급하게 오르면서 달러로는 3만 달러 돌파, 원화로는 4천만 원을 돌파하였습니다. 최근 연준의 파월 의장이 "우리는 경제용 스테이블 코인을 화폐의 한 형태로 보고 있다" 라는 가상화폐에 우호적인 발언을 하여 비트코인이 상승하였습니다. 또한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에서 비트코인 etf를 신청했습니다. 이 두 가지 이슈로 인해서 비트코인이 제도권 안에 들어올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감에 최근 많이 상승한 걸로 보입니다. 하지만 최근 파월이 금리 인상이 2차례 남아 있다는 발언도 있었는데요. 금리 인상이 이어진다면 위험자산인 비트코인에 좋지 않은데 과연 지금의 상승이 추세적 상승인지 단기적 반등인지는 지나봐야 알 것 같습니다. 물론 저는 비트코인에는 투자하지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