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메모/거시경제

달러 인덱스 100 하향 돌파 분석 및 전망

이코메모 2023. 7. 18. 04:00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코메모입니다.

최근에 달러 인덱스가 1년 3개월 만에 100을 하향 돌파하는 모습을 보여

급하게 글을 올려 보려고 합니다.

 

위에 보이는 차트는 달러 인덱스 차트입니다.

1년 넘게 100위에서 움직이는 모습을 보여주다가

최근 들어서 급격하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최근에 물가 상승률인 cpi가

열심히 하락하고 있어서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많아야

한번 인상할 거라는 의견이 주류가 되어서 그런 것 같습니다.

headline cpi가 3.0 (예상 3.1) 전년대비

core cpi가 4.8 (예상 5.0) 전년대비로 발표되었습니다.

 

현재 healine cpi에서 식료품과 에너지를 뺀

core cpi나 core pce를 더 중요하게 보고 있습니다.

연준에서도 그렇게 보고 있습니다.

아직까지는 core cpi는 많이 빠지지는 않는 모습입니다.

 

달러인덱스가 더 하락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경기가 급격하게 식어가면서

물가를 하락시켜야 합니다.

물가가 하락해야 연준 입장에서는

금리 인상을 중단할 수 있게 되며

그래야 다른 나라들과 금리차가 줄어들게 되면서

달러의 가치가 하락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아직은 달러 인덱스가 더 하락하기는 힘들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금리 인상을 더 하지 않는다면 물가하락이 힘들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높은 금리를 오래 지속하는 방법도 있기는 합니다.)

 

강달러

 

달러의 가치 하락이 힘든 데는 모순적으로

강달러의 효과에 있습니다.

미국 같은 경우 전 세계 최고의 무역적자국입니다.

저번달 미국의 무역적자는 한화 93조입니다.

 

미국은 최근 1년 동안 강달러 현상이 지속되면서

수입 물가를 떨어트리는 효과를 얻었습니다.

(더 싼값에 해외에서 많은 것을 수입할 수 있습니다.)

강달러 자체가 물가를 하락시키는데

많은 영향을 주었다는 것입니다.

 

만약의 달러의 가치가 하락한다면

물가를 잡는데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물가를 잡지 못한다면 다시 강달러가 될 수 있습니다.

 

에너지

 

아까 말한 것처럼 저는 headline cpi보다 core cpi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에너지가 빠져 있기 때문입니다.

 

미국 노동 통계국의 cpi

 

위에 보이는 사진은 미국 노동 통계국의 cpi입니다.

보시면 에너지 부분이 작년 대비 16%가 하락하면서

물가하락에 도움을 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천연가스와 원유가 작년 대비 많이 하락하면서

에너지 부분이 많이 하락하였습니다.

 

wti

위에 보이는 차트는 서부텍사스산 원유 가격입니다.

작년 6월에 120달러를 기록하고 1년 동안 하락해 준 모습입니다.

작년 6월에 가격이 매우 높았기 때문에 그 효과로 하락했지만

앞으로 나오는 물가지표에서는 그 효과가 떨어질 거라 생각합니다.

 

기저효과

 

원유와 마찬가지로 headline cpi도 기저효과 덕분에

많이 하락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headline cpi

작년 6월에 9.1이라는 40년 만에 최고 물가 상승률을 기록하였습니다.

그 말은 6월 물가 상승률까지는 기저효과로 인해서

물가가 탄력적으로 하락하는 효과를 보여준다는 겁니다.

하지만 이제부터 나올 지표는 기저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작년 한 해 동안 나름 꾸준하게 하락하였기 때문입니다.

사실상 물가를 잡는 일은 지금부터가 진짜라고 생각해도 될 것 같습니다.

 

 

오늘은 달러인덱스가 100을 하향 돌파한 기념으로

달러에 대한 분석 및 전망을 해보았습니다.

달러는 현재 전 세계의 경제에 기본이 되기 때문에

공부를 하시면 언제 가는 다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합니다.

( 환율 공부는 매우 어렵습니다.

맞추는 건 더...)

하지만 공부를 해놓는다면 나중에 좋은 전략 중 하나 혹은

좋은 지표로 자리매김할 수 있습니다.

모두 열심히 공부해서 부자 되었으면 합니다.

성공 투자하세요.

 

반응형

'경제메모 > 거시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10년물 금리 상승  (2) 2023.10.12
미국 신용등급 하락 및 국채 금리 급등  (0) 2023.08.04
미 국채 금리 상승  (0) 2023.07.07
비트코인 시세 2023/6/26  (0) 2023.06.26
채권 투자하는 법  (0) 2023.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