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72

2025-04-25 국내 증시와 수급

안녕하세요 오늘은 국내 증시와 수급에 대해 적어보겠습니다.굳이 차트는 가져오지 않겠습니다.일단 4월 초 매우 변동성이 심했던 장에서 어느 정도는 안정화된 모습입니다. 또한 코스피도 저점 대비 10% 이상 상승하면서 어느 정도 반등을 했습니다.​원래 투자를 하면서 수급을 그다지 신경 쓰는 스타일은 아니지만 작년 7월부터 외국인이 국내 증시를 40조가량 순매도하면서 꾸준하게 하락하였습니다.그에 따라 코스피 외인 비중도 35% 정도에서 30% 정도까지 내려왔습니다.또한 연기금 같은 경우 아직 올해 순 매수해야 할 양이 최소 5조 정도 남았습니다.수급적으로 봤을 때는 오히려 매력적이라고 생각이 듭니다.일단 지수 전체의 유동주식 비율은 측정하기 힘들지만 60% 정도로 잡겠습니다.(개인적 추정)비유 동주식 비율 4..

생각에 관한 생각

오늘은 행동경제학, 통계학, 심리학이 같이 들어있는 '생각에 관한 생각'에 대해 적어보겠습니다.저자는 대니얼 카너먼으로 행동경제학의 아버지로 불리며 심리학 전공으로 최초로 노벨경제학상을 받으신 분입니다. 그만큼 좋은 내용이 들어있고 투자와 행동경제학에 관계없이 읽기 좋은 책이라는 생각이 듭니다.​일단 사람의 사고 시스템 1과 2로 나뉩니다.시스템 1은 빠르고 직관적이며 에너지 소모 없이 자동으로 발현됩니다.(안 귀찮음, 충동적)시스템 2는 느리고 노력이 필요하며 에너지 소모가 심합니다.(귀찮음, 이성적)사람마다 시스템을 사용하는 비율이 차이가 납니다.(살다 보면 여러 가지 군상이 보이는데 시스템 사용 비율과 시스템 훈련 정도에 따라 다른 부분도 있는 듯하다.) 사람은 여러 가지에 한 번에 집중하기 힘듭니..

도서 2025.04.18

트럼프 풋과 증시 급등

안녕하세요 어젯밤 나스닥 12% 상승 그리고 국장, 유럽, 일본 등 보복관세를 부과한 중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증시가 상승했습니다.나스닥은 역대 하루 상승률 2번째라고 하네요.(25년만)일단 그 장을 제 눈으로 봐서 역사의 한 장면을 본 것 같아 기분은 좋네요.​일단 트럼프 풋이 나왔습니다.어제 국채금리는 올라가고 유가는 하락해서 걱정이 된다고 글을 적었는데트럼프도 국채금리 상승은 부담이 됐던 듯합니다.상호 관세 90일 유예이니 일단 증시는 시간을 번듯합니다.저도 분할매수를 해서 고점 부근에 비웠던 위험자산 비중은 좀 채웠습니다.대부분의 사람들이 일단은 안도감을 가지게 된듯합니다.​물론 전에도 꾸준하게 말했듯이 아직 벨류에이션 부담이 많이 덜어진지는 잘 모르겠습니다.조금 비싸다고 느껴지네요. 제 입장에..

미국 스몰캡, 중소기업, 러셀 2000

안녕하세요 저번 글에서 트럼프와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해 적었는데그로 인해 가장 손해를 본 곳이 어디인지 또한 어떠한지에 대해 적어보겠습니다.일단 미국의 중소기업이 있는 러셀 2000의 차트입니다.러셀 2000스태그플레이션은 성장은 둔화되는데 인플레이션이 공존하여 금리는 내리기 힘든 상황을 말합니다.그렇게 진행된다면 재무구조가 탄탄하지 못한 중소형주들이 가장 좋지 못하는 모습을 많이 보여왔습니다.위에 보다시피 나스닥이나 s&p 500에 비해 오른 것도 없는데가파르게 빠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2020년 코로나 사태 전 고점, 2022년 하락장 저점, 2023년 금리 최고점 5%에 도달했습니다.그로 인해서 최근 들어서 중소형주 기업평가를 좀 진행했는데 제 입장에서는 꽤 저렴해 보입니다. 물론 전반적인 pe..

트럼프와 스태그플레이션레이션(미국채 금리)

안녕하세요 오늘은 트럼프와 스태그플레이션 그리고 미국채 금리에 대해 적어보겠습니다.투자를 하시는 분들은 다들 아시다시피 최근 트럼프의 관세 관련하여많은 이슈들이 발생하고 있습니다.설명하기 앞서 일단 최근 미국채 10년물 금리와 유가 차트부터 보겠습니다.미국채 10년물wti 유가4월 2일 이후에 관세로 인한 경기 침체 우려가 제기되면서 유가와 국채금리가 같은 방향으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그로 인해 미국채 10년물이 4% 이하로 내려갔고 예전부터 4% 미만에서는 채권 매력이 없다고 생각하는 저로는 장기채는 매도했습니다.)그러나 4월 7일부터 갑자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했습니다.이것은 무엇을 의미할까요?시장이 성장(생산, 유가)은 둔화되고 물가(금리)는 상승하는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는..

2025-04-09 환율과 국장

안녕하세요 최근 들어서 전 세계 시장이 흔들리는 가운데 환율 급등과 국내 증시 하락에 대해 적어보겠습니다.일단 코스피 차트부터 보는데 달러 기준으로 보도록 하겠습니다.코스피/달러이 차트는 평소에 보는 코스피 차트와는 차이가 있습니다.코스피를 달러로 나눈 차트이기 때문에 글로벌 자산 기준에서 코스피의 가격을 볼 수 있습니다.또한 코스피는 자산이기 때문에 추세적으로 조금씩이라도 상승해야 합니다.(아무리 주주환원율이 떨어져도)​그 기준에서 바라봤을 때 현재의 코스피는 정말 저렴해졌습니다.저도 국장을 그렇게 선호하지는 않지만지금 같은 시기에 사면 어지간하면 벌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물론 불안하신 분들도 많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하지만 불안한 시점에 사면 항상 좋은 수익률을 가져다주었습니다.저는 거의 항상 ..

먼 미래의 경제 위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먼 미래의 경제 위기는 어떤 식으로 올지에 대한 생각을 적어보겠습니다.최근 들어서 트럼프와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많이 생겼습니다.하지만 오늘 말하는 경제 위기는 몇 년에 한 번씩 오는 경제 위기에 대한 말은 아닙니다.긴 시계열에서 진행되는 큰 경제 위기를 말합니다.​경제 위기는 단순한 경기의 하방 압력(디플레)와 상방 압력(인플레) 형식이 존재한다.하지만 경제학과 금융지식이 발달한 지금 저 두 가지는 실물경제에 크게 영향을 주지는 못한다.(중간중간 인플레와 디플레 사이를 오가겠지만 금융이 무너질 정도는 아니다. 흔한 경기 사이클)​지금까지 현대 경제학의 역사를 바꾼 순간은 대공황과 1980년도 미국의 인플레이션이라 생각한다.고전 자본주의에서 대공황이라는 큰 시장실패를 겪으며 케인스학..

미국 증시 또다시 폭락

안녕하세요 나스닥이 2일 연속 6% 하락을 하며무려 2일 사이에 12%가 빠졌습니다.​사실 저도 장기적으로 미국 주식시장의 수익률이 저조할 수 있다고생각은 했지만 단기간에 이렇게 빠르게 하락할지는 몰랐습니다.물론 최근 2년 동안 오른 것이 있어서 더 빠지는 것처럼 보이겠지만24년 상승분을 단 2달 만에 반납했습니다.왜 상승을 롱이라고 부르고 하락을 숏이라고 하는지 여실히 느끼는 장입니다.​저는 싸게 사서 적정가격 이상에서 파는 것을 좋아하는 역발상 투자자입니다.그렇기 때문에 싸다고 생각하면 비중을 늘리고 비싸다고 생각하면 비중을 줄입니다.제가 생각하는 나스닥 100의 적정가치를 17000 정도라고 했는데(25년 기준)그렇기 때문에 23년도 중반부터 꾸준하게 미국 주식을 줄이기 시작했습니다.그래서 현재는 ..

미국채 금리, 환율, 달러 인덱스, 유가

안녕하세요 오늘은 어제 트럼프발 금융시장에서 급변동과 주가 급락이 있으면서요동친 미국채 금리, 환율, 달러 인덱스, 유가에 대해 적어보겠습니다.차트부터 보겠습니다.​미국채 10년물달러 인덱스WTI어제오늘 미국채 10년물 금리가 급락하며 4%를 깨고 내려오는 모습을 보였습니다.또한 달러인덱스도 최근 고점에서 많이 하락하여 7% 정도 하락하였으며유가도 3일 만에 7% 정도 하락하였습니다.​이 3가지를 가지고 정리해 보면 사람들의 미국 경기 침체에 대한 의심이 다시 생겼다고 보면 됩니다.​몇 달 전 트럼프 취임 이후에 관세 관련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인플레이션 이야기만 하길래조금 이상하다고 생각했습니다.물론 관세를 올리면 수입 물가를 상승시킬 수는 있으나 대부분의 사람들이 수입 물가가 오르면 소비를 줄이기 때..

2025-04-04 국내 증시

안녕하세요 국내 증시에 대해 적어보겠습니다.어제 나스닥이 6% 가까이 하락하면서 또한 최근에 꾸준히 하락하면서연초에 좋은 모습을 보여준 코스피와 코스닥이 상승분을 거의 반납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일단 차트부터 보겠습니다.​코스피코스닥코스피는 작년 말 저점 대비 13% 상승 후 다시 9% 정도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고코스닥은 작년 말 저점 대비 23% 상승 후 다시 13%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개인적으로 코스피는 환율 하락 시 상승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했는데 며칠 사이에 환율이 1475에서 1435원까지 하락하였으나 미국 장이 워낙 좋지 못하기 때문에 따라 하락하였습니다.이걸 그나마 환율이 하락하면서 나름 선방했다고 봐야 하는지는 모르겠지만 다시 매수하기 괜찮은 가격대에 진입한 것 같습니다.(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