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비트코인 3

금과 비트코인 그리고 미국

안녕하세요 조금 늦기는 했지만 비트코인이 10만 달러에 도달해서 금과 비트코인에 대한 관점을 적어보겠습니다.​올해가 거의 끝나가고 있습니다.자산 시장에 큰 변동이 없다면 최근 1년 동안 가장좋은 수익률을 보여준 자산은 비트코인과 금입니다.​금과 비트코인은 특정국가에서 찍어내는 종이화폐와는 다른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수량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그러합니다.​비트코인을 어떠한 관점에서는 폰지사기라고 볼 수도 있지만그러한 논리라면 사치품 이외에 큰 가치가 없는 금도 사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하지만 현대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금을 실제 가치가 높은자산이라는 인식이 뿌리를 내렸습니다.종이화폐이든 금이던 비트코인이든 결국 신뢰가 중요합니다.그리고 역사적으로 봤을 때 결국 신뢰는 가장 힘이 센 사람들이정하기 나름이라고 ..

미국의 달러패권

안녕하세요 이코메모입니다. 오늘은 미국의 달러패권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에 미중 갈등이 심해지면서 중동에서 원유를 위안화로 결제한다. brics에서 탈 달러화를 진행한다 등 위안화로부터 달러패권이 위협받고 있다는 말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데요. 빠르게 달러패권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달러패권이란? 2차 세계대전에서 전 기축통화국(기축통화란 국제 간의 결제나 금융거래의 기본이 되는 통화이다.)이었던 영국이 전쟁을 치르게 되며 미국으로부터 많을 빛을 지게 되었고 승전국이기도 하며 아무 피해를 보지 않은 미국의 달러가 국제적 통화로 자리를 잡았습니다. 그 이후로 미국이 전 세계의 중앙은행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때까지만 해도 전 세계에서 금이 통화의 기준이 되었기 때문에 달러를 금과 바..

비트코인 시세 2023/6/26

안녕하세요 이코메모입니다. 최근에 비트코인 시세가 급하게 오르면서 달러로는 3만 달러 돌파, 원화로는 4천만 원을 돌파하였습니다. 최근 연준의 파월 의장이 "우리는 경제용 스테이블 코인을 화폐의 한 형태로 보고 있다" 라는 가상화폐에 우호적인 발언을 하여 비트코인이 상승하였습니다. 또한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에서 비트코인 etf를 신청했습니다. 이 두 가지 이슈로 인해서 비트코인이 제도권 안에 들어올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감에 최근 많이 상승한 걸로 보입니다. 하지만 최근 파월이 금리 인상이 2차례 남아 있다는 발언도 있었는데요. 금리 인상이 이어진다면 위험자산인 비트코인에 좋지 않은데 과연 지금의 상승이 추세적 상승인지 단기적 반등인지는 지나봐야 알 것 같습니다. 물론 저는 비트코인에는 투자하지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