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메모 60

국내 증시 분석 및 전망 2024/11/13

안녕하세요 최근 들어 국내 증시가 매우 안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코스피와 코스닥 둘 다 좋지 못한 모습을 보이며2018년 수준으로 돌아왔습니다.일단 코스피와 코스닥 차트부터 보겠습니다.코스피코스닥트럼프 당선 이후 환율 상승, 미국 증시 상승, 비트코인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며해외로 돈이 빠져나가고 있습니다.​물론 벨류에이션 측면에서 역사적으로 그렇게 저렴하지는 않습니다.(그냥 평균 수준?)하지만 최근에 대부분의 전 세계 대부분의 자산 시장이 상승하면서비교적으로는 조금 저렴해 보입니다.위험자산의 비중을 유지하는 용도로 2600 이하에서는 주워봄직하다고 생각합니다.물론 안전마진이 많다고는 생각하지 않기 때문에하락하면서 줍줍할만하 정도라 생각합니다.위에는 코스피가 2600을 깨고 내려오면서 적은 글입니다..

미국 10년물 금리 상승

안녕하세요 최근 들어 다시 미국 장기채 금리가 상승하고 있습니다.일단 미국 10년물 금리부터 보겠습니다.미국 10년물 금리미국 10년물 금리가 작년 11월부터5%에 도달 후에 4% 밑까지 빠졌다가다시 상승하여 4.7%까지 상승 후 다시 3.7%까지 하락했습니다.또한 최근 1달 동안 다시 상승하여 4.3을 넘어가고 있습니다.​일단은 수급적으로 국채를 안 좋게 보는 시각이 있다고 생각합니다.일단은 트럼프가 당선 시 관세를 통해 인플레이션이 다시 발생할 수 있다는 시각과더 적극적인 재정적자를 확대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는 듯합니다.​또한 단기적으로는 큰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지만최근 대부분의 국가에서 재정적자를 확대하고국채를 마구 찍어내며 국채에 대한 신뢰가 조금 좋지 않아진 것 같습니다.​하지 마 현재 결..

환율과 국내 증시 2024/10/22

안녕하세요 최근 한 달 동안 환율이 상승하고 있습니다.국내 증시와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원 달러 환율일단 환율 차트입니다.최근 1달 동안 1300원 가까이에서 1380원까지 상승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환율 상승 원인​또한 미국 장기 국채 금리 상승 또한 환율 상승에 영향이 있는듯합니다.(국채 금리는 대선, 연준, 통화정책, 재정정책 등 다양한 요인들의 합이라 생각됨 )또한 한미 금리 차 상승과 국내 증시 이슈로 외인들의 국내 증시 매도세와 동시에 발생한듯합니다.​또한 저번 글에서 코스피 2600 밑에서는 주워볼 만하다고 적었었는데환율까지 고려한다면 더욱 저렴하다고 생각됩니다.(물론 안전마진이 높다고 생각되지는 않음)떨어지면 주워볼 정도라 생각됩니다.특히 평소에 원화 자산과 해외 자산(특히 달..

코스피 단기적 분석 및 전망 2024/10/09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코스피 분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일단은 코스피 3년 정도의 차트를 가지고 왔습니다.세계 증시와 비슷하게 2022년 말쯤에 저점을 찍고 그래도 꾸준히(?) 상승을 하다7월쯤부터 다시 하락을 하고 있습니다.그러면 3년 동안의 세계 주요 증시의 흐름을 보도록 하겠습니다.​총 43개의 증시를 3년 동안 하락률 순으로 가지고 왔습니다.코스닥은 4등 코스피는 6등을 하고 있습니다.1등과 2등은 전쟁 중인 러시아 증시이며 3등과 5등은 3년 동안 내리 하락하다최근에 좀 반등한 심천과 항셍입니다.결과적으로 우리나라의 증시가 상대적으로 좋지 못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당연하지만 원인은 복합적인 문제가 있다고 생각이 됩니다.금투세, 벨류업 프로그램에도 불구한 처첨한 주주가치 제고,너무 낮은 roe..

중국과 홍콩 증시 급등

안녕하세요 최근에 중국과 홍콩 증시 관련하여 글을 썼는데 더 급하게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 글을 하나 더 씁니다.​장기적인 뷰로 오랫동안 하락하고 절대적인 가격이 싸다고 생각하여더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적었었는데쓰고 나서도 중국 증시가 10% 정도 상승하였습니다.벌써 csi 300기준 2주 만에 25% 상승, 항셍지수 기준 2주 만에 35%의 상승을 보이고 있습니다.7일까지 중국 휴장일인데 항셍 선물도 꾸준하게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최근 2~3년 동안 관심을 받지 못하였는데 단기적으로 fomo 현상이 발생한 것 같습니다.(숏커버링도?)아무래도 단기적으로 너무 급한 상승을 한 만큼 적절한 비중 조절이 필요해 보이며무리한 추격매수는 조심히 하시길 바랍니다.

중국과 홍콩 증시 근황 2024/09/27

안녕하세요 이코메모입니다.최근 들어 중국과 홍콩 주가 지수의 강한 상승이 나오고 있는데근황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중국과 홍콩 증시 근황안녕하세요 최근 들어서 중국 경제가 안 좋다는 뉴스와 홍콩 els 관련한 뉴스를 한 번쯤을 봤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뉴스에 나온 것과 중국증시, 홍콩증시의 근황이 어떠한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economic-memo.tistory.com 바로 위에 올해 1월에 중국과 홍콩에 관한 생각을 적었었는데 먼저 읽고 오시면좀 더 이해하기 쉬우리라 생각됩니다.우선 차트부터 보겠습니다.​​csi 300항셍지수주봉 차트를 가져왔는데 확실히 이번 주 중국과 홍콩 증시가 강하게 올라주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직전 저점도 깨지 않고 올라주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현재의 미국 경제 위치는?

안녕하세요 미국 경제는 전 세계 자산 시장의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그럼으로 최근 정부 주도하의 사이클이 많이 진행됨에 따라 코로나 이후 상황을복기하고 현재의 미국 경제가 어디쯤 와있는지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우선 미국 경제를 알아야 하는 이유를 말씀드리겠습니다.미국 경제는 전 세계 자산 시장에 매우 큰 영향을 줍니다.대부분의 나라들이 기축통화로 달러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또한 경제 규모도 워낙 거대해 미국의 경제가 글로벌한 영향을 가지고 있습니다.투자를 할 때 기본적인 경제 순환과 정부의 움직임에 의한 사이클은 알고 있는 게 좋습니다.​복기1. 코로나2020년 초 코로나가 확산되기 시작하며 전 세계 경제에 대한위험이 확산되기 시작했습니다.경제는 둔화되고 자산 시장의 심리는 좋지 못했습니다그..

중국과 홍콩 증시 근황

안녕하세요 최근 들어서 중국 경제가 안 좋다는 뉴스와 홍콩 els 관련한 뉴스를 한 번쯤을 봤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뉴스에 나온 것과 중국증시, 홍콩증시의 근황이 어떠한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중국 본토 주식을 대표하는 csi300지수부터 보도록 하겠습니다. 확실히 최근 10년 중에서 낮은 증시 수준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중국의 디플레이션 우려가 있기 때문에 실적이 떨어지면서 증시 또한 떨어졌을 수 있다는 생각을 하실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증시의 기대감을 반영하는 per을 가져와봤습니다. ttm이기 때문에 과거 1년 동안의 벨류에이션입니다. 과거 10년 동안의 평균 per은 12.36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또 급하게 하락하며 10.30으로 평균보다..

미국 증시 분석 및 전망 2024/01/17

안녕하세요 이코메모입니다. 최근에 뉴욕 3대 지수가 전고점 근처에 도달하거나 돌파하며 강한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기념으로 미국 증시 분석 및 전망을 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 아래에는 바로 뉴욕 3대 증시의 2년 6개월 차트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다우지수입니다. 확실히 변동성이 큰 지수는 아니다 보니 22년에도 상대적으로 적게 빠지는 모습을 그 후 최근에 가장 강하게 역사적 전고점을 돌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과거에 비해 상대적 고금리에 성장주보다 강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 다음은 s&p 500입니다. 다양한 섹터의 종목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3대 지수 중에 주식시장 전체의 분위기를 가장 잘 나타낸다고 생각되는 지수입니다. 최근에 많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며 전고점을 ..

미국 채권 금리 하락 분석

안녕하세요 이코메모입니다. 최근에 미국 장기 채권 금리가 급하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며 4% 밑에서 머물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오늘은 미국 채권 금리 하락에 대해서 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7월에 글을 올리면서 7,8,9,10,11월 중에서 미국채 금리의 고점이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습니다. 지금은 일단 10월에 고점이 나온 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 그리고 10월에 4.5%를 넘어갈 때 매력적인 가격에 온 거 같다고 말했습니다. 그 후로 계속 분할 매수를 진행했더라면 좋은 수익률을 기록할 수 있었으리라 생각됩니다. ​ 10월부터 2달 정도 미국 장기 채권의 금리가 급하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며 하락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처음 들어갈 때 조금은 장기적으로 이자도 받고 시세차익도 내려는..

반응형